새소식
언론보도 목록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KB국민은행 비대면학습 플랫폼에 클라우드 기반 영상 스트리밍 기술 제공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로 사내 원격 학습 공유 플랫폼 ‘쓸' 구축…4600명 넘는 높은 직원 참여도- 독보적인 웹RTC 기술로 0.5초 미만 초저지연 실현…2500명 동시 접속에도 투표, 채팅 등 고품질 양방향 소통 가능해- 개발 및 운영비용 60% 절감, 최소한의 코드로도 개발 가능한 개발자 친화적 솔루션[2022-5-16]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KB국민은행이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Kakao i Connect Live)'를 기반으로 사내 비대면학습 플랫폼을 고도화했다고 16일 밝혔다. 금융 업계에서는 고객에게 최고의 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일 쏟아져 나오는 새로운 금융지식과 상품학습을 위한 사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많은 시중 은행들이 사내 교육과 직원들의 자기주도 학습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는 가운데, KB국민은행은 비대면 상황에서도 직원들이 원활하게 교육을 받고 활발히 상호작용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에 집중했다. KB국민은행은 코로나19로 대면연수가 불가능했던 2020년 초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를 도입해 ‘HRD 클라우드 Now’라는 비대면강의 시스템을 구축해 단기간에 다양한 직무연수를 비대면으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 올해는 지난 2년간의 비대면학습 운영 노하우를 통해 신개념 소셜러닝 플랫폼 ‘쓸(SSL, Self & Social Learning)’을 개발해 4600명이 넘는 직원들의 높은 교육 참여를 이끌어 냈다. KB국민은행이 가장 집중한 부분은 방송 지연(latency)을 최소화해 직원들이 활발하게 소통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드는 것이었다.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독보적인 웹RTC(WebRTC, 웹 실시간 통신) 기술을 보유해 지연이 1초 미만으로 발생한다. 실제 KB국민은행의 실시간 교육에서 지연이 0.5초 미만으로 발생하며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가 경쟁사 대비 500% 수준의 울트라 로우 레이턴시(ultra low latency, 초저지연)를 보여줬다. 2500명이 동시 접속한 웨비나에서도 화상연결, 온라인 투표, 채팅 등을 지연없이 진행할 수 있어 고품질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했다.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영상 스트리밍 기술로서 조직에 별도 기술 전문가가 없어도 쉽게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트래픽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 개발 및 운영비용에서 60% 절감 효과를 보인다. 다양한 샘플, 풍부한 개발문서, 컴포넌트 등으로 최소한의 코드로도 개발이 가능할 정도로 개발이 용이하다는 점도 이 솔루션의 특징이다. KB국민은행 인재개발부 관계자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의 협력으로 비대면학습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고도화시키고 직원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더욱 권장할 수 있게 되었다"며, “기존의 단방향 동영상 학습에 비해 쌍방향 라이브 강의는 실제 현장에 참석해 강의를 듣는 것과 같은 학습효과뿐만 아니라, 참여 직원에게 새로운 디지털 학습경험을 제공했다.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팀과 만들어낸 성공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직원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자기주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진호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커넥트라이브 팀장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를 통해 더 나은 연결, 더 새로운 형태의 소통을 만들고 이를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있다. KB국민은행과의 협업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우수한 기술력과 서비스가 금융 업계에서 인정받은 좋은 사례”라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국내 금융 업계가 성공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현할 수 있도록 KB국민은행 같은 다양한 성공 사례를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끝)
2022.05.16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CJ올리브네트웍스에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역량 제공
- 카카오엔터프라이즈-CJ올리브네트웍스 기술력 기반 AI 및 클라우드 분야 협력- HPC-AI 및 AI 인프라 분야 공동사업 추진, 메타버스, NFT 등 신성장 사업에도 적극 협업 [2022-05-12]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CJ올리브네트웍스(대표이사 차인혁)와 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분야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이사, 최진민 수석 부사장, 차인혁 CJ 올리브네트웍스 대표이사, 이주영 DT사업 1담당 상무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해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HPC(고성능 컴퓨터) 및 AI 인프라 분야에서 공동 사업을 진행하고 양사의 인프라⋅플랫폼⋅솔루션으로 상호 영업을 추진하게 된다. 또한 메타버스, NFT 등 신성장 트렌드에 맞춘 솔루션 사업에서도 적극 협업할 계획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ML옵스(MLOps, Machine Learning Operations) 및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기반으로 CJ올리브네트웍스에 머신러닝과 빅데이터 플랫폼을 공급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카카오 i 클라우드(Kakao i Cloud) 기반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 역량이 CJ올리브네트웍스의 AI 기술력과 대형 IT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만나 인프라⋅플랫폼⋅솔루션 분야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발굴할 수 있게 되었다. 차인혁 CJ올리브네트웍스 대표이사는 “고객의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인공지능은 물론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ICT 핵심 기술들이 융합해 더욱 큰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면서 ”AI와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운영 등 회사의 DT 역량을 기반으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협력을 통해 AI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는 “CJ올리브네트웍스와의 이번 협력을 통해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AI 및 클라우드 역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 i 클라우드 플랫폼과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기반으로 고객이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을 연결하는 것은 물론 높은 수준의 데이터 분석으로 쉽고 스마트한 혁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CJ올리브네트웍스는 지난 1월 광주과학기술원이 운영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고성능 검퓨팅 기반 인공지능 공용인프라 구축 사업을 수주하며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기술 지원에 나서고 있다. [끝]
2022.05.12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기반 물류 생태계 플랫폼 ‘Kakao i LaaS’ 출범
- Kakao i LaaS 첫 고객 컨퍼런스 ‘LaaS ON 2022’ 개최- 물류 업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뜨거운 관심…업계 및 학계 전문가 약 1300명 참석- 화주 및 회원사 매칭부터 판매, 주문, 창고 관리까지 Kakao i LaaS로 한 번에[2022-5-3]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3일 웨스틴조선 서울에서 ‘LaaS ON 2022’를 개최해 인공지능(AI) 기반 물류 생태계 플랫폼 ‘Kakao i LaaS(Logistics as a Service)’를 공식 출범했다. 물류 업계 및 학계 전문가 약 1300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한 LaaS ON 2022에서는 Kakao i LaaS 기반 미래 물류 생태계에 대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비전과 파트너사와의 성공적인 협업 사례가 공유됐다. Kakao i LaaS는 AI를 기반으로 화주(화물업체)와 회원사(물류센터)를 연결하고 판매, 주문, 창고 관리까지 누구나 쉽게 물류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물류 생태계 플랫폼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만의 플랫폼 노하우와 쉽고 편리한 사용성,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로 연결되는 연결성에 더해, 고도화된 AI와 검색, 데이터 분석 역량을 제공함으로써 물류 업계의 진정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현한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기존 물류 업계가 효율성, 유연성, 디지털화 측면에서 겪고 있던 어려움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Kakao i LaaS는 여행객과 숙박 업체를 매칭하는 숙박 매칭 서비스 처럼 화주와 회원사도 쉽고 편리하게 서로를 연결 및 매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수십 개의 쇼핑몰 주문을 한 번에 수집하고 자동화된 물류 시스템으로 쉽고 정확하게 창고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화주는 매칭 서비스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최적의 물류센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주문부터 창고 및 재고 관리, 배송 등 물류 전 단계의 정보에 대해 가시성을 얻게 된다. 회원사는 유휴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기존에는 비워둘 수 밖에 없었던 물류센터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객 유치에 대한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는 물류 업계의 다양한 참여자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카카오엔터프라이즈만이 보여줄 수 있는 물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유통, 풀필먼트, 배송 등 복잡하게 느껴지던 물류에 ‘다양성'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더함으로써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파트너인 ‘LaaS 프론트 러너(LaaS Front Runners)’들과 함께 윈윈(win-win)할 수 있는 더 나은 물류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는 설명이다. 백상엽 대표의 발표에 이어 김원태 LaaS 사업부문장은 Kakao i LaaS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카카오엔터프라이즈만이 제공할 수 있는 AI 기술력과 확장성, 자체 클라우드 역량 등을 강조했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이날 행사에서 물류 업계 및 학계 전문가, 파트너사와 함께 물류 혁신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했다. 민정웅 인하대 물류전문대학원 교수가 좌장으로 참여한 라운드테이블에서는 hy, 이지스자산운용, 중앙일보 M&P, 메쉬코리아, JBL, 비와이앤 블랙야크, 한국 SCM 학회 등이 참여해 백상엽 대표와 함께 물류 업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심도있는 대화를 나누었다. 백상엽 대표는 “LaaS ON 2022의 성공적인 개최로 물류 업계 및 학계 전문가 사이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큰 화두임을 직접 체감할 수 있었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모든 참여자들이 ‘함께’ 더 가치있는 것에 집중해 소비자에게 한층 더 합리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파트너들과 함께 Kakao i LaaS를 고도화하고 모범 사례를 구축해왔다. 지난해 7월 hy와의 업무협약(MOU)을 시작으로, 동원디어푸드, 오리온 등 다양한 기업과 꾸준히 협력하며 물류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끝)
2022.05.03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카테노이드와의 협력으로 향상된 라이브커머스 방송 시청 경험 제공
- 라이브 커머스 시장 적극 공략…국내 최대 서비스형 비디오 테크놀로지 기업과 손잡아 미디어 사업 협력-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독보적 웹RTC 기술로 지연 없는 라이브 커머스 방송 혁신[2022-4-27]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국내 최대 서비스형 비디오 테크놀로지(Video Technology as a Service, VTaaS) 기업 카테노이드(대표 김형석)와 미디어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사진설명]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카테노이드와 미디어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 부터 이영재 카테노이드 부장, 강백현 이사, 이형구 전무, 윤석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 최진호 이사, 변재경 부장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미디어 사업 분야에서 각각 보유한 핵심 역량을 토대로 다양한 영역에서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공동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특히 새로운 미디어로 급부상한 라이브 커머스 분야에서 양사의 노하우를 결합해 B2B 라이브 커머스 시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양사는 시너지 창출을 위해 공동의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라이브 커머스 사업의 핵심 역량인 기술력을 적극 활용해 경쟁력을 강화한다. 카테노이드의 비디오 스트리밍 및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라이브 방송 플랫폼 기술을 적극 검토해 라이브 커머스 도입을 원하는 기업 고객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를 고도화하고 자사의 인공지능(AI), 고객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해 카테노이드 솔루션을 이용하는 라이브커머스 시청 고객에게 향상된 시청 경험을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의 독보적인 웹RTC(WebRTC, 웹 실시간 통신) 기술은 지연(latency)이 1초 미만으로 발생해 고성장하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한다. 양사는 라이브 커머스 외에도 유관 산업 분야에서 미디어 관련 신규 사업 진행 시 양사의 솔루션 활용 방안을 적극 발굴하고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 사업과 솔루션에 관한 정보 및 기술 교류도 활발하게 추진할 예정이다. 이형구 카테노이드 전무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통해 급변하는 미디어 사업 분야에서 좋은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양사의 운영 노하우와 기술력을 활용해 라이브 커머스 분야를 비롯한 미디어 사업 전반의 성공적인 협력 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은 “급성장하는 라이브커머스 시장에서 시청자들의 라이브 방송 시청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와 매출 향상에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테노이드와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라이브커머스 고객이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독보적인 웹RTC 기술, AI, 챗봇 기술 등을 기반으로 시청자에게 더욱 향상된 방송 시청 환경을 제공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끝)
2022.04.27
-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오롤리데이 못난이가 만났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롤리조쓰컴퍼니’ 오롤리데이에 카카오 i 클라우드 기반 NFT 및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지원- NFT⋅메타버스 생태계 확장 위한 인프라 기술 및 IT 운영 노하우 제공- 오롤리데이의 라이프스타일 노하우 기반 커머스 비즈니스 기회 확장 기대- 클레이 에이프 클럽 이은 NFT⋅메타버스 생태계 관련 두번째 업무 협약 체결[2022-4-26]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NFT 플랫폼(NFTaaS, NFT as a Service)과 메타버스 플랫폼(MVaaS, MetaVerse as a Service) 개발을 위해 ‘롤리조쓰컴퍼니'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롤리조쓰컴퍼니는 MZ 세대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못난이' 캐릭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과 콘텐츠를 개발하고 선보이는 ‘오롤리데이’를 운영하고 있다. 오롤리데이는 오롤리데이의 팬덤이 구성하는 해피어타운(Happier Town) 세계관의 온오프라인 현실 세계를 넘어서 가상세계로의 확장을 앞두고 있다. 강력한 IP와 전 세계적인 팬덤을 바탕으로 NFT 발행은 물론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AI,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 기술과 IT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오롤리데이가 진행하는 NFT 및 메타버스 프로젝트의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기술 구축에 협력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기업 전용 클라우드인 ‘카카오 i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를 제공해 오롤리데이의 NFT 및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또한 양사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제품 및 콘텐츠 제작, IP 기반 팬덤 등 오롤리데이의 라이프스타일 관련 노하우를 바탕으로 커머스 비즈니스 기회 확장에도 힘을 모을 예정이다.이동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수석부사장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기술력과 오롤리데이의 강력한 IP가 만나 NFT⋅메타버스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이 NFT 비즈니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범사례를 만들어 NFT 탈중앙화에 더욱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한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지난 3월 NFT 프로젝트팀 ‘클레이 에이프 클럽'과 업무 협약 체결을 맺으며 NFT, 메타버스 생태계 확장에 본격적으로 합류했다. (끝)
2022.04.26
-
오리온·카카오엔터프라이즈, 물류 시스템 공동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2022-04-20]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오리온과 ‘Kakao i LaaS 물류 시스템 공동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이사, 이승준 오리온 대표이사 등 양사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을 진행하고, AI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물류 시스템 구축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출처 : 이데일리] 오리온,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물류 시스템 효율화 (2022-04-20)
2022.04.20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산광역시교육청과 손잡고 디지털 공교육 환경 혁신 나선다
- 부산의 초/중/고 학생 및 교원 대상 교육용 카카오워크 무상 제공하며 공교육 스마트 수업 활성화에 기여- 부산광역시교육청 내 선도교사 선정 및 지역 학교/학생 대상 지속적인 연수 제공- 교육용 카카오워크의 고도화를 위한 공동 연구 및 협력[2022–04-11]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디지털 공교육 환경 혁신을 위해 AI 기술과 서비스를 적극 지원한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부산광역시교육청 제1회의실에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강성 수석 부사장, 부산광역시교육청 김석준 교육감 및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부산지역 ‘디지털 기반 교실 수업의 혁신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양 측은 교육용 카카오워크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수업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 적극 협력한다.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무상으로 교육용 카카오워크를 사용하며 선도교사를 선정, 교육용 카카오워크를 국내 공교육 에 최적화된 학습 플랫폼으로 고도화할 수 있도록 교육 현장의 의견 수렴과 실태조사 등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는 지역 학교 및 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교실 수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학급관리 시스템, 확장서비스, 봇(Bot) 활용 등에 대한 연수를 제공한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지난 2월 카카오워크를 교육 현장에 도입해 초/중/고교에 무상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공공 교육 분야에 통합 교육 플랫폼을 지원하며 상생 협력해 나가겠다는 취지다.카카오워크는 교사와 학생의 자유로운 소통과 수업에 유용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에 온오프라인 연계 학습을 위한 교육 공간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업, 교원 연수, 소모임 등 온라인 소통이 필요한 모든 교내 활동을 별도의 교육 없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화상회의 기능을 이용하면 최대 100명까지 시간 제한 없이 원격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교사가 카카오워크에 가입해 계정을 만들고 신청하면 학생들은 별도의 앱 설치 없이 화상회의 링크만으로 바로 참여할 수 있다.카카오워크와 연계된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하면 출/결석 확인부터 수업 일정 공지, 설문 참여 요청 등을 할 수 있다. 카카오워크는 ‘구름EDU’, ‘하이디클래스’ 등 국내 에듀테크 기업들과 협업해 출석 체크, 과제 공유, 공지사항 등의 서비스를 봇 알림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부산교육청은 교사 수업 환경의 디지털화(블렌디드 교실), 학생 수업 환경의 디지털화(학습용 스마트 기기), 학생 및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디지털 기반 학생 참여 교실 수업의 실천 등 전국에서 가장 선도적으로 디지털 교육환경으로 대전환을 위한 미래형 학습체제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이번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의 협력으로 부산교육청의 디지털 기반 미래 교육환경 구축이 더욱 정교하게 완성될 것으로 기대된다.김석준 교육감은 “우리 교육청의 역점사업인 부산형 블렌디드 러닝과 디지털 기반 수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카카오워크의 강점인 효율적인 의사소통 기능이 필요하다”며 “이 학습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기반 교실 수업을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강성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수석부사장은 “전국 시도교육청과 함께 최적화된 통합 교육플랫폼인 카카오워크를 활용해 스마트한 온라인 교육공간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끝]
2022.04.11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자체 AI모델로 한국어 기계독해 평가 1위 기록
- 한국어 특성에 최적화된 자체 개발 모델로 ‘KorQuAD 2.0'에서 최고점, 2019년에 이어 두번째 1위 기록- 기존 1위 모델 대비 1.7배 처리 속도 향상, 분량이 많은 문서도 빠르게 처리 가능- 향후 검색/챗봇/AI 컨택센터 등에 적용해 서비스 고도화 목표[2022-03-22]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AI 기술이 다시 한번 인정 받았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는 22일, 자체 개발한 자연어처리 AI 모델이 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셋 ‘KorQuAD 2.0(The Korean Question Answering Dataset 2.0)’ 성능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KorQuAD 2.0’은 대규모 한국어 질의응답 데이터셋으로, 2018년 12월 'KorQuAD 1.0’이 오픈소스로 공개된 이후 현재 2.0은 리스트, 표 등이 포함된 HTML 문서의 이해, 길고 방대한 문서를 빠르게 처리하는 기술을 요구하며 한층 난이도가 올라간 상태다. 평가는 데이터셋에서 추출한 내용을 질문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해 AI 모델이 정확한 답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자연어처리 모델 'LittleBird-large’는 정확도 90.22점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정확도 뿐만 아니라 처리 속도 역시 기존 1위 모델 대비 약 1.7배 빠른 수치를 기록해 기술력을 입증했다. 또한, 모델 사이즈를 최적화해 추론 속도를 높이고 실용성을 제고하도록 함께 개발된 ‘LittleBird-base’ 모델은 정확도 88.57점으로 6위를 기록하며, 유사 성능의 타사 모델 대비 약 3.4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해당 모델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검색, 챗봇을 비롯해 AI 컨택센터인 ‘카카오 i 커넥트 센터’에 적용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카카오 i 커넥트 센터’에 적용하면 AI 상담사가 해당 기계독해 모델을 적용한 지식 검색 시스템을 활용해 고객의 질의나 요청에 대해 한층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지난 2019년에도 카카오의 자체 언어모델이 'KorQuAD 1.0’에서 1위에 오른 바 있다. 당시 카카오의 언어모델은 평가 주체인 인간의 문장 판별 및 독해 능력 수준(Human Performance)이라고 밝혀진 91.20점보다 0.65점 높은 91.85점을 받으며 AI가 인간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 최동진 AI Lab & Service장은 “기계독해는 문서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넘어 분석, 추론을 통해 최적화된 답을 제공하는 기술로, AI를 활용한 실서비스를 고도화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앞으로 자연어처리는 물론 비전, 음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끝][참고]https://korquad.github.io
2022.03.23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NFT 프로젝트팀 ‘클레이 에이프 클럽’과 업무 협약 체결
- 기업용 NFT 및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상호 협력- 카카오 i 클라우드 기반으로 한 NFT 개발 플랫폼을 PaaS 형태로 제공 목표- 아이디어 가진 기업이라면 쉽고 자유롭게 자체 NFT 커뮤니티 및 메타버스 서비스 개발/운영 가능하도록 지원[2022.03.14]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NFT, 메타버스 생태계를 확장하고 기업이 쉽게 NFT(대체불가토큰)를 제작, 발행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을 지원한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는 ‘클레이 에이프 클럽(Klay Ape Club, 정웅희 대표)’과 ‘NFT 및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클레이 에이프 클럽’은 그라운드X에서 개발한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국내 최초의 NFT ‘유인원NFT’를 발행한 프로젝트 팀이다. 10개 이상의 국내 프로젝트팀과 파트너십을 맺는 등 활발하게 얼라이언스 활동 중이며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양사는 NFT 및 메타버스 생태계 확장을 위해, 각사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활용해 NFT플랫폼(NFTaaS , NFT as a Service) 및 메타버스 플랫폼(MVaaS, MetaVerse as a Service) 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현재 NFT는 전문적인 블록체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소수 기업만이 발행할 수 있는 구조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기업 전용 클라우드인 ‘카카오 i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NFT 플랫폼을 공동 개발해 이를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이라면 직접 NFT를 제작하고 발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NFT 비즈니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NFT 제작, 발행 뿐만 아니라 NFT를 활용한 메타버스 서비스 개발/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역시 제공한다. 고객사가 플랫폼 내 자체 NFT 커뮤니티를 오픈하고 메타버스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호스팅 서비스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이동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수석부사장은 “NFT는 향후 생활 밀접형 서비스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 어떤 기업이든 아이디어만 있으면 쉽고 편리하게 NFT를 제작, 발행 할 수 있는 활동의 장을 열어줌으로써, 궁극적으로 NFT 비즈니스를 대중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번 협약으로 "국내 NFT와 DAO(탈중앙화)의 모범사례를 함께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라고 밝혔다. [끝]
2022.03.14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반도체 리딩 기업 ‘퓨리오사AI’와 전략적 협력
- 컴퓨터비전-메타버스-하이퍼스케일 분야 공동 사업-연구개발 적극 협력- 최신 AI 비전 기술을 고성능 AI 반도체에 탑재하고 초거대 모델용 인프라 공동 개발- 국내 반도체 기업과 첫 파트너십, AI·클라우드 분야 경쟁력 강화[2022.03.08]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AI, 메타버스, 하이퍼스케일 분야에서 강력한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7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오피스에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백상엽 대표, 퓨리오사AI 백준호 대표 및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퓨리오사AI와 ‘컴퓨터비전-메타버스-하이퍼스케일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퓨리오사AI는 고성능 AI 반도체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개발하는 국내 스타트업이다. 최근 컴퓨터 비전용 고성능 AI 반도체 ‘워보이(Warboy)'를 출시해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이번 협력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국내 AI 반도체 산업과 맺는 첫 파트너십으로, 향후 단계적으로 퓨리오사AI와 추진 범위를 확장하고 산업 별로 특화된 AI칩 활용 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해 AI와 클라우드 시장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양사는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AI, 메타버스, 하이퍼스케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연구 및 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퓨리오사AI의 반도체를 활용해 엔터프라이즈 IT 플랫폼 및 AI 서비스를 한층 고도화시킨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솔루션과 퓨리오사AI의 1세대 칩 ‘Warboy’를 결합해 교통, 금융, 물류, 제조, 의료 등 버티컬 분야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한다.그 일환으로 퓨리오사AI의 고성능 칩에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 문자 인식), MOT(Multi-object Tracking, 다중 객체 추적) 등 최신 비전 기술을 탑재하고, 이를 자체적으로 AI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기업 고객에게 제공할 예정이다.또한 라지스케일(초거대 AI) 모델용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도 적극 협력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우수한 인프라 및 네트워크 기술을 퓨리오사AI의 초고속 병렬컴퓨팅 기법과 가상화 기술에 접목시켜 획기적인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초거대 AI를 실제 서비스하는 과정에 필요한 수퍼클러스터를 공동으로 구축해, 초거대 모델을 이용해 서비스를 개발하는 고객사들과 협력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한다는 목표다. 이외 메타버스 분야의 AI 기술 공동 연구·개발 등 신기술에 관한 협업을 지속한다.퓨리오사AI 백준호 대표는 “AI와 메타버스는 향후 필수적인 근간 기술이 될 것이며,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스케일의 연산량과 파워가 요구된다. 국내를 선도하며 글로벌 도약을 목표로 하는 양사가 힘을 합쳐 AI 반도체부터 슈퍼클러스터 구축까지 차세대 플랫폼 서비스의 근본 토대가 될 가장 경쟁력 있는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해 낼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 백상엽 대표는 “양사의 기술과 노하우를 결합해 AI, 메타버스, 클라우드 분야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앞으로도 AI 기술 전문성 향상과 미래 신기술 개발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끝]
202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