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에서 조회, 예약, 결제 까지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전문가들이 꼼꼼하게 검토하여 요청 내용에 맞게
메뉴를 구성해주셔서 프로젝트를 수월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 제주시청 이우진 주무관
주요 특장점
-
카카오톡 채널기반 챗봇 서비스
하나의 카카오톡 채널로 알림, 홍보, 상담 그리고
지능형 AI 챗봇까지, 고객에게 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최고 수준의 한국어 인식 및 자연어 처리
다년간 축적한 포털, 검색 서비스 등의 학습데이터를
바탕으로, 최고 수준의 한국어 인식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다양한 차별적 특화 기능
카카오 i 오픈 빌더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톡비즈
플러그인을 활용해 고객 편의성을 확보하며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
챗봇 설계/기획 전문인력
고객사 니즈를 담은 통합 채널 구축을 위해 업무
현황 파악부터 시나리오 설계까지 고도화된 기획역량을 제공합니다.
서비스 적용예시
-
증권사 시세 조회
계좌개설, 매매 방법, 금융 상품 등 다양한
증권 업무 응대가 가능하며, 시세조회와 공모주 청약을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
지자체 민원 안내
공공지자체의 기본 민원 업무를
10개의 항목(복지, 편의, 시설, 코로나19, 환경,
교통, 안전, 관광문화)로 구분하여 하여 업무를 지원합니다. -
건설사 청약 안내
분양-계약-납부-입주-AS 등 아파트 서비스 전반에 대한
문의 응대가 가능합니다. -
금융권 대출 신청
챗봇 채널을 통해 대출 신청, 대출 상품 안내, 대출 상환 등
대출 관련 업무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스몰톡 API 연동
일상 대화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스몰톡API를
제공합니다. -
대화로 데이터 조회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어렵고 복잡한 SQL
작성없이 대화를 통해 데이터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별 활용사례
-
핀테크 산업의 고객센터
핀테크 기업의 인텐트 구조 재설계를 통해 총 인텐트 개수를
축소하여, 서비스 운영을 위한 관리 부담이 크게 줄었으며,
고객사 내부 만족도를 높였습니다. -
-
택배 물류 산업의 새로운 고객 채널
AI챗봇을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는 셀프 온라인
택배 접수를 시작하여 수십만 이용자에게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
주요 소식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카카오 i 커넥트 톡’ 신용보증기금 챗봇서비스 지원
[2022-12-22]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기업에 제공하는 고객 상담 시스템 ‘카카오 i 커넥트 톡’을 신용보증기금(이사장 최원목) 챗봇 서비스에 적용했다. ‘카카오 i 커넥트 톡’은 카카오톡채널, 챗봇 등을 결합한 AI 기반의 고객 응대 플랫폼이다. ‘카카오 i 커넥트 톡’을 도입하면 카카오톡 챗봇으로 고객의 요청을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어 고객센터 운영 효율이 한층 높아진다. 의료, 물류, 금융, 생활 인프라 등 다양한 […]
-
강북삼성병원과 업계 최초 건강검진가이드봇 개발 협력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과 함께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인 ‘카카오 i 커넥트 톡(Kakao i Connect Talk)’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업계 최초 건강검진 가이드봇(이하 건진가이드봇)을 공동 개발한다고 6일 밝혔다.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아모레퍼시픽에 AI 챗봇 서비스 제공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가 아모레퍼시픽(대표 서경배)과 ‘카카오 i 커넥트 톡 (Kakao i Connect Talk)’ 사용 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초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
세종특별자치시·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와 ‘카카오 i 커넥트 톡’ 계약 체결
‘카카오 i 커넥트 톡’으로 지자체의 다양한 서비스와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백상엽)는 5일, 세종특별자치시청, 제주특별자치도청, 제주시청과 각각 ‘카카오 i 커넥트 톡’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카카오 i 커넥트 톡’으로 고객센터 운영 효율화-고객 만족 두마리 토끼 잡았다
'언택트' 문화가 자리 잡아가고 있는 가운데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기업에 제공하는 고객 상담 시스템 ‘카카오 i 커넥트 톡’ 이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최근 원격근무가 대중화되고 비대면 서비스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고객센터의 업무량과 운영 비용 역시 급증하고 있다.